01

diary finder

diary finder나에게 맞는 다이어리 찾기

  1. 01스타일

  2. 02사이즈

  3. 03소재

  4. 04제품선택

  5. 05내지선택

어떤 다이어리 스타일을 선호하시나요?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오거나이저

    오거나이저

    링이 달려있는 커버에 내지를 끼워서 사용하는 리필형 다이어리

  • 리필형 다이어리

    리필형 다이어리

    커버와 내지가 분리되어 있어 매년 내지만 리필해서 사용하는 다이어리

  • 일체형 다이어리

    일체형 다이어리

    커버와 내지가 붙어있는 다이어리

선택하신 다이어리 스타일의 사이즈입니다. a4용지와 비교하시면서 크기를 가늠하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사이즈를 선택하세요.

비즈니스 사이즈

데스크에 두고 스케쥴관리와 메모하기 좋은 사이즈입니다.

포켓 사이즈

주머니에 쏙 들어갈 정도로 휴대하기 좋은 사이즈입니다.

비즈니스 사이즈

데스크에 두고 스케쥴관리와 메모하기 좋은 사이즈입니다.

포켓 사이즈

주머니에 쏙 들어갈 정도로 휴대하기 좋은 사이즈입니다.

천연가죽, 재생가죽 등 다이어리 커버에 사용된 소재를 선택하세요.

  • 천연가죽

    천연가죽

    슈렁컨방식의 소가죽, 드럼다이 코팅을 하지 않은 순수한 송아지 가죽부터 대자연의 기운이 깃든 행운의 엘크까지 오롬의 천연가죽으로 제작된 다이어리 상품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재생가죽

    재생가죽

    남는 여분의 가죽 팁을 세세하게 분말로 갈아낸 뒤 특수한응고제로 굳혀 만들어진 리사이클 소재입니다.

  • 기타소재

    기타소재

    천소재, 하드종이커버 등 여러가지 소재로 제작된 상품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검색결과 27개의 상품이 등록되어있습니다.

내가 선택한 옵션

내가 선택한 옵션

  • 스타일

  • 사이즈

  • 소재

  • 제품

초기화

finder 닫기

오롬 매거진

글씨학 개론#6. 일상계획법

  • 2021.06.16 16:16
  • 2,157


※ 오롬의 '글씨학개론'은 기록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생각을 나누고자 마련한 섹션입니다. 이 공간에서는 문자, 글쓰기 등 기록에 관한 모든 것이 화두가 됩니다.






글씨학개론 6강

언택트와 컨택트의 사이에서



'운은 계획에서 비롯된다'


브랜치 리키(Branch Rickey)







언택트(Un-tact)란?



언택트는 접촉의 의미를 가진 Contact에 부정 접두사 Un-이 붙은 합성어로 대면없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소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김난도 교수가 2017년 처음으로 소개한 단어입니다. 효율성이 중요시되는 사회분위기에 맞추어 일상에서 언택트는 자리잡기 시작하였으며 점차 대중들에게 확산 되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 유비쿼터스(Ubiquitous)라는 용어의 출현으로 온라인으로 대체되는 생활을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라는 의미의 라틴어로 원래 의미처럼 제약없이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막연하기만 하였던 개념이 현재는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0년을 기준으로 비대면(언택트)의 생활양식이 본격화 되었으며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온라인 경연 등 여러 활동이 온라인 공간으로 이동하였습니다.





비대면의 생활이 일상에 정착되며 관련된 새로운 신조어들이 생겨났습니다.


- 확찐자 ( 외출을 자제하게 되며 살이 확찐 상태가 되었다는 의미)


- 집콕족 ( 타인과의 접촉을 기피하게 되어 대부분의 생활을 집 안에서 해결하게 된 사람들을 나타내는 단어)


- 집관 ( 스포츠, 공연 등의 문화 활동을 집에서 관람한다는 의미)


- 금스크 ( 일시적인 마스크 품귀 현상으로 금(金)과 같이 마스크의 가치가 귀해졌다는 의미)


- 코로나 블루 ( 코로나 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







특히, 코로나 블루는 인간관계의 결핍으로 사람들이 우울함을 느끼게 되는 현상인데 언택트로의 전환과정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생성되는 긍정적인 에너지가 부족하게 되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필요한 수준에서의 언택트 생활은 유지되고 발전될 수 있으나 기존의 컨택트 생활으로의 일부 회귀는 불가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어느새 익숙해진 언택트 생활에서 돌아올 컨택트 시대로의 회귀를 맞이하며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일상을 계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대인과 일상 계획


요즘에는 자기계발서를 읽는 것이 유행인 것처럼 대부분 한 번쯤은 자기계발서를 읽어보았을 것입니다. 자기계발서에서는 줄곧 계획적인 생활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는데 자신에 대한 관리가 더 나은 삶을 위한 기본적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일과 시간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계획법을 활용하면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가는 하나의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일상을 계획하는 만다라트 계획법과 하루 계획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만다라트 계획법 (Mandal-art)




만다라트 계획법은 일본의 마츠무라 야스오(Matsumura Yasuo, 松村寧雄)가 개발하였으며 활짝 핀 연꽃 모양으로 아이디어를 발현해나갈 수 있기에 연꽃(만개)기법, 개발자의 이니셜을 따라 MY기법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만다라트라는 용어는 '본질'을 의미하는 'Mandasms'과 ' 얻다'라는 의미의 '-la'가 합쳐진 용어로 '본질을 얻다' 라고 해석됩니다. 본질을 얻는다는 'Mandala'에 기술, 기법을 의미하는 ' Art '가 융합되어 '본질을 얻는 기술'로서 Mandalart가 완성되었습니다.


만다라트는 성취하고자 하는 장기적인 목표에 이르기 위해 세부목표를 세우고 세부목표를 실천하기 위한 행동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원하는 목표를 가시화 시켜두고 매일매일 실천하여 성공할 수 있음에 대해 믿는 마음가짐이 일의 성패를 좌우하곤 합니다. 그렇기에 만다라트는 마음가짐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떠한 방법으로 만다라트를 작성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만다라트 작성방법


1. 가로 세로 3칸의 정사각형 줌심에 성취하고자 하는 핵심목표를 넣습니다.


2. 정사각형의 중심을 주변으로 핵심목표와 관련된 세부목표를 넣습니다.


3. 정사각형의 주변에 동일한 정사각형 8개를 그리고 각 정사각형의 중심에 세부목표를 넣습니다.


4. 주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중심인 세부목표의 둘레에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행동을 넣어 실천합니다.




만다라트 계획법과 관련된 인물로 야구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면 아주 잘 알고 계실 LA에인절스의 오타니 쇼헤이(Ohtani Shohei)입니다.



출처 : https://baseman.tistory.com/34



오타니는 고등학교때부터 만다라트를 작성하고 실천하여 94년생이라는 젊은 나이로 메이저리그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두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오타니를 통해 목표를 체계화하고 구체적인 실천 목표를 세워 실천하는 것이 단기간에 변화를 실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결국 변화가 모여 큰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neoguyger/222237404463





특히, 오타니의 경우 인간성, 운과 같이 인성에 대한 수양을 하나의 세부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성공에 있어서 인성과 같이 간과하기 쉬운 부분 또한,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만다라트를 접하신 여러분들도 외적인 목표와 내적인 목표를 모두 포함하는 계획을 수립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Kathi Burns의 하루계획법



캐시번즈는 공인정리정돈 전문가이자 [addSpace To Your Life!]의 설립자로 CEO들을 대상으로 강연 및 일상계획에 대한 코칭을 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일상계획법을 계획수립, 계획실천의 2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계획 수립 과정



1. 다이어리 준비하기 !



달력이나 플래너, 다이어리 등 계획을 기록할 공간을 마련합니다.



2. 일을 분류한다.



업무와 관련된 것은 붉은색, 약속은 파란색 등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일에 따라 색상을 부여합니다.



3. 일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스스로에게 시급성, 난이도, 중요성 등을 질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4. 중요도에 따라 일의 등급을 나눈다.



오늘까지 마감인 것은 A, 내일까지 마감은 B, 마감이 넉넉한 것은 C 등으로 나누어 기록합니다.



5. 각각의 일에 시간을 할당한다.



등급에 따라 시간을 분배하는 과정으로 이때 준비시간, 이동시간, 마무리시간을 포함하여 시간을 배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각각의 일에서 시간을 너무 꽉 맞추어 할당하면 비현실적인 계획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기존에 예측한 시간의 25%를 여유시간으로 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 계획과 계획사이에는 항상 빈칸을 넣어둔다.



예상치 못한 일이 갑작스럽게 발생되었거나 꼭 해야하는 일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할 필요가 있는 집정리, 약속 등의 일을 계획에서 빈칸에 해당되는 시간을 활용합니다.




계획 실천 과정


1. 기록된 계획을 매일 시간을 정하여 확인한다.



매일 아침, 전날 자기 전 등 특정 시간에 계획을 확인하고 추가할 일과 제거할 일을 반영합니다.



2. 중요도에 따라 일을 처리한다.



사전에 정한 중요도에 따라 순서대로 일을 처리합니다.



3. 필요하다면 계획을 수정한다.



상황에 따라 옮겨도 지장이 없을 경우 일정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나 중요한 일을 마치지 못하여 다음 날로 미루는 것은 최소한으로 하여야 합니다. 자주 이러한 일이 생기는 경우 추후 계획 수립 시, 특정 업무에 대한 시간을 이전보다 더욱 할당하는 것이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4. 일을 완료하면 표시한다.



완료된 일을 별도로 표시하는 것이 하나의 정신적 보상이 될 수 있습니다.



5. 계획을 마무리한 후 자신에게 보상을 준다.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거나, 간식을 먹으며 영화보기 등 사소한 보상이라도 성취감을 얻는데 도움이 줄 수 있습니다.



6. 평가하고 조정한다.



계획의 실천여부에 대해 평가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다이어리를 열었을 때 자신의 기분이 어땠는지 되돌아보는 것입니다. 만족스럽고 생산적인 느낌이 든다면 계획 실천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자주 미뤄지는 일이 있다면 그 일을 하기 직전 또는 전날에 영향을 미칠만한 일이 있었는지 파악하여 계획을 조정합니다.





실천을 위한 팁 !!


● 아침과 같이 하루 중 에너지가 가장 많은 시간을 활용


● 자투리 시간(계획 중 빈칸)에 할 일 리스트를 미리 만들어 놓기


● 휴식시간도 필수적으로 정해놓기




하루계획법은 생활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는 종종 방법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누군가의 방법을 직접 따라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하루계획법을 실천하다보면 어느샌가 달라진 스스로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하여



과거 대면위주의 생활에서 비대면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우리는 많은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그렇기에 비대면에서 대면으로의 복귀 과정에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임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변화과정에 잘 적응 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 접할 수 있었던 계획법들은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들에게 발전의 기회가 되기를 기원하며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written by. uju

edited by. uju

ⓒ OROM Co., Ltd






목록